연구계획 단계에서 알아야하는 통계학 주요용어에는 모집단과 표본, 모수와 통계량이 있다.
모집단(population)
연구에서 밝히고자하는 연구문제의 대상이 되는 전체 대상집단
예를 들어, 우리나라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에서 모집단은 대한민국의 모든 성인이다. 하지만, 모든 모집단을 조사하여 연구문제 가설을 검증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전체 모집단 중에서 일부를 연구대상자로 표집하여 조사하게 되고, 그 대상을 표본이라고 한다.
[논문의 모든 것] 논문찾기부터 쓰기까지 모두에게 필요한 실전 노하우!
클래스 배우기 강의, 강좌 후기 - [논문의 모든 것] 논문찾기부터 쓰기까지 모두에게 필요한 실전 노하우! | J. Hannah2012- 대학강사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외 강의 및 특강)2015 서울
www.classu.co.kr
표본(sample)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추출된 모집단의 일부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서 매해 대한민국 성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조사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매년 192개 지역의 25가구를 확률표본으로 추출하여 만 1세 이상 가구원 약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 그리고 모수는 모집단을 실제로 전수 조사했을때 확인가능한 특성을 결과를 말하는 용어이다.
모수(parameter)
실제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
통계량(statistic)
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표본의 특성을 나타내는 방식
통계치(statistics)
표본으로 계산된 구체적인 값
예를 들어, 실제 전수조사를 하는 대통령선거에서 사전조사는 통계량을 구하는 방식이고, 그 결과는 표본을 조사한 통계치이다. 그리고, 모수는 우리나라 전체 유권자의 투표를 개표하여 얻은 대통령 후보들의 득표율을 말한다.
이렇게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설을 세우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수집한 자료를 통계학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의사결정과정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뽑고 연구문제와 연구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조사하여 표본의 특성을 기초로 모집단의 특성을 아는 것이 통계적 분석의 기본적인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집단의 특성이 잘 나타낼 수 있도록 랜덤(무작위)하게 표본을 선정하는 연구설계가 중요한 것이다.
[논문의 모든 것] 논문찾기부터 쓰기까지 모두에게 필요한 실전 노하우!
클래스 배우기 강의, 강좌 후기 - [논문의 모든 것] 논문찾기부터 쓰기까지 모두에게 필요한 실전 노하우! | J. Hannah2012- 대학강사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외 강의 및 특강)2015 서울
www.classu.co.kr
[논문통계] 논문에서 유의수준 P값의 의미가 도대체 뭘까? (0) | 2023.10.11 |
---|---|
[설문지 입력/코딩] 논문통계 준비하기_엑셀로 설문결과 코딩하기 (0) | 2023.10.11 |
[실전논문] 논문 통계분석을 의뢰해야하는 대학원생, 또는 연구원이 알아야하는 주의사항 (0) | 2023.03.16 |
#Statistics 연구하고 논문쓰는 우리가 통계학을 알아야하는 이유는 뭘까? (0) | 2023.02.19 |
[논문통계]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 코딩과 결측값, 소수점 자릿수, 척도 입력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