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Graduate students
-
논문쓰는 인공지능
[제니.에이아이_Jenni.ai] 논문 작성을 위한 인공지능 무료가입부터 사용법까지!
나는 인스타그램으로 세계 각지의 연구자들을 팔로워하면서,최신 연구 동향을 보는 것을 즐긴다.그리고 요즘 핫한 논문작성을 위한 인공지능이 눈에 들어왔다.https://jenni.ai/?via=hana Jenni AIJenni is your AI assistant for all things in your academic journey. We specialise in developing AI that helps you make your writing more efficient, while still keeping control.jenni.ai오늘 알아보려고 하는 논문작성을 위한 인공지능 "제니, 에이아이"는그 웹사이트 대문부터 "연구논문"을 위한 인공지능임을 강조하고 있다! 사실, 논문의 문체와 성격은 일반적..
-
연구가 논문이 되기까지
[논문투고 준비] Journal submission (학회지 양식으로 논문 편집하기)_학회지, 저널 규정, 참고문헌 양식
오늘은 논문투고 준비 1단계 작업인 "학회지 양식으로 논문편집하기"에 대하여 소개해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학술논문을 많이 게재해본 연구자들에게는 익숙하고도 지루한 일이지만, 첫 논문을 투고하는 초보연구자들에게는시작하기 막막한 작업이다.오늘은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를 편집하는 방법으로 알아본다. 가장 먼저, 어느 학술지에 투고할지 결정되는 시점이 언제인가에 따라, 연구자가 학술지 양식을 맞추는 시점이 달라진다. 논문을 학회지 양식에 맞춰 편집하는 시점 (어느 학회지에 투고할것인지 결정되는 시점에 좌우 됨) 1. 논문은 이미 다 쓰여져 있는 상태에서 학회에 투고해야 하는 경우 (석사논문이나 박사논문을 학회지로 투고하는 경우, 또는 실험과 연구가 모두 끝나고 보고서나 글이 모두 잇는 상태에서 학회지..
Research Tips
from Research to Thesis
AI for Research Paper Writing
Research Paper Writing Tips
-
알고 돌리는 논문통계
[논문읽기/논문해석]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논문통계 논문결과해석_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논문은 왜 쓸까? 우리는 왜 연구를 할까?연구자들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를 설계하고 논문을 쓴다. 모유수유와 비만에 상관관계가 있을까?정말, 분유를 먹은 아기가 모유를 먹은 아기보다 비만이 될 위험이 높은가? 사실, 이러한 문제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영유아의 건강에 대한 이슈이므로 국가기관에서 체계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서나 논문을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구자들이라면 어떠한 이슈에 대하여 단순한 기사가 아닌 검증된 논문결과를 보고, 정확한 통계해석을 통하여 적절한 이슈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오늘은 위의 문제에 대하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식약처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함께 발표한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모유..
-
알고 돌리는 논문통계
[논문결과] 논문통계 해석을 위한 통계용어/통계약어(Statistical abbreviations) 모음집
대학원 신입생 논문특강을 하다보면, 내가 예측하지 못한 부분에서 좋은 반응이 나온다. 그 중 하나가 "Statistical abbreviations" 이다. 이미 논문 좀 읽어본 사람들은 당연히 알고있는 통계 약어와 기호들이라서 쉽게 생각했는데, 신입생들에게는 꼭 필요한 부분이었나보다. 이 약어표를 출력해서 책상에 붙여놓고 약어가 나올때마다 체크하다보면, "아! 우리 전공분야에서는 이런 약어를 제일 많이 쓰는 구나! 내 논문에도 이런 약어를 써야 하는구나!" 감을 잡을 수 있다. 오늘 소개한 통계 기호와 약어들은 축약본이고, 이외의 통계적 약호 기호는 미국심리학회 출판 매뉴얼(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th Ed..
Research Proposal
Laboratory & Researchers
-
[논문특강]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작성법_요즘논문 클래식 꿀팁부터 인공지능까지
[요즘논문]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특강 전문기업_논문작성법, 인공지능과 논문작성사진 삭제AI 활용 설정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사진 삭제AI 활용 설정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사진 삭제AI 활용 설정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사진 삭제AI 활용 설정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아래의 링크에서 특강신청 가능합니다!https://privatalab.quv.kr/22 연구용역 전문기업, 에이앤피랩기업과 개인 연구자를 위한 맞춤형 연구자문, 연구지원, 연구용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privatalab.quv.kr
2025.11.10 15:25 -
[대학원/인공지능 ] 예비 대학원생들이 제일 많이하는 AI 질문? 전공별로 모아보기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예비 대학원생들은 AI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구체적인 첫걸음'을 떼기 위한 질문을 가장 많이 한다.이들은 정보를 얻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싶어한다.전공에 상관없이 대학원생들이 AI에게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을 몇 가지 주제로 나누어 정리해보면,*전공 공통1. 진로 및 적합성 확인가장 근원적인 질문이다. 대학원 진학이 과연 나에게 맞는 선택인지, 어떤 분야를 공부해야 할지 확신이 없을 때 묻는다."제가 가진 전공과 경험(OO)을 살려 대학원 진학을 한다면, 어떤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학부 성적이 좋지 않은데, 대학원에 갈 수 있을까요?""석사 과정과 박사 과정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연구자는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
2025.09.19 16:38 -
논문 읽기 전, 이것 하나만 알아도 성공: 초보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TOP 5
논문을 읽기 시작하다 보면, 왜 이렇게 막막하고 지루하게 느껴질까? 수많은 논문을 읽어도 머릿속에 남는 것이 없어 좌절한 경험, 한 번쯤 있다. 혹시 논문 독해를 방해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반복하고 있지는 않은가? 논문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인공지능에 의존하고 있지는 않은가? 오늘은 논문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빠지는 5가지 함정을 알아보자.1. 논문을 소설처럼 첫 페이지부터 정독한다. 소설은 첫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읽어야 하지만, 논문은 그렇지 않다. 논문은 이미 정해진 목적을 가진 구조물과 같다. 서론, 연구 방법, 결과, 결론 등 각 파트의 역할이 명확하다. 서론의 배경부터 모든 단어를 이해하려다 보면, 본론에 다다르기도 전에 지쳐버린다. 이 비효율적인 독해법은 당신의 논문 읽기 속도..
2025.09.03 11:53 -
[논문/AI] 대학원생들이 인공지능에 가장 많이 반복하는 질문은? 전공별로 알아보기
대학원생들이 가장 많이 반복하는 질문들은 단발성 지식 검색이 아닌, 연구의 방향성과 정체성에 대한 근원적인 고민들이다. 이 질문들은 AI가 완벽하게 답해주기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반복되는 경향을 보인다.*공통 질문 (전공 불문)모든 분야의 대학원생들이 가장 많이, 그리고 끊임없이 반복하는 질문들이다. 이는 논문 작성이라는 과업의 본질적인 어려움과 관련이 깊다."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가장 첫 번째이자 마지막까지 반복되는 질문이다. 논문 초고 작성, 데이터 분석 시작, 선행 연구 정리 등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때마다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함을 느낀다. 이는 단순히 방법을 모르는 것을 넘어, 방대한 과업 앞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에서 비롯된다."제가 찾은 선행 연구가 맞나요?"구글 학..
2025.08.31 16:21 -
[대학원생 추천 명언] 전문가란, 매우 좁은 분야에서 가능한 모든 실수를 해 본 사람이다.
요즘 SNS를 보다보면, 대학원생이나 대학원 생활에 대해 조롱하는 듯한 영상이나 글들을 자주 마주하게 된다. 오랜 대학원 생활을 마치고,연구를 업으로 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이런 상황은 헛 웃음만으로 지나치기에는 참으로 쓰리다. 그래서 우리는,지금 이 순간 연구와 논문, 그리고 배운의 길에 들어선 누군가에게 힘이되는 명언을 알려주고 싶다. 지난 어느 날, 우리에게 위로가 되었던 그 한마디를 들려주고 싶다. An expert is a person who has made all the mistakes that can be made in a very narrow field.전문가란,매우 좁은 분야에서 가능한 모든 실수를 해 본 사람이다.Niels Bohr, Physicist, 1885-1962닐스 보어,..
2024.10.30 14:00 -
[대학원 비교] 우리나라 대학원생은 몇 명이나 될까? 대학원생 성별, 외국인대학원생 비율은 어느 정도일까?
"대학생은 줄어드는데, 대학원생은 늘어나고 있다고?" 오늘은 2023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 발표자료와 '전국대학원' 자료를 기반으로우리나라 대학원과 대학원생 실태에 대해서 알아보자. 대학원 재학생 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교육기본통계조사 안에서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 수를 먼저 알아봐야 한다.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재적학생 수는 전년 대비 각각 33,325명(1.8%↓), 30,137명(5.6%↓) 감소했고, 대학원은 전년 대비 2,689명(0.8%↑) 증가했다. 특히, 대학원생은 2015년 333,478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다가 2021년부터 계속 증가해서 2023년 가장 많은 336,596명이 재적 학생으로 보고되었다.그리고 고등교육기관 전체 입학자 수는 691,013명으로 전년 대비 3,5..
2024.10.18 15:03 -
[논문 DOI 검색] Crossref와 구글학술검색 (Google scholar)을 이용해서 Digital Object Identifier (D
오늘은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국제학술지를 시작으로 이제 국내학술지와 학위논문도 참고문헌 작성 시 doi를 필수로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는 디지털 콘텐츠의 주소나 위치가 바뀌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 소유 및 제공자 등 데이터에 관한 각종 정보 포함한 고유 식별번호를 말한다. 이러한 DOI 시스템은 논문뿐만 아니라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ISO 국제 표준 식별번호이며, 저작사를 보호하기 위해 국제 DOI 재단에서 관리된다. (이제 모든 논문들이 웹상으로 공개되는 디지털 콘텐츠이므로, 최근 논문들은 고유 DOI가 부여된다) 그렇다면, 논문에서 doi는 어디에 있..
2024.10.16 15:44 -
[논문투고 준비] Journal submission (학회지 양식으로 논문 편집하기)_학회지, 저널 규정, 참고문헌 양식
오늘은 논문투고 준비 1단계 작업인 "학회지 양식으로 논문편집하기"에 대하여 소개해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학술논문을 많이 게재해본 연구자들에게는 익숙하고도 지루한 일이지만, 첫 논문을 투고하는 초보연구자들에게는시작하기 막막한 작업이다.오늘은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를 편집하는 방법으로 알아본다. 가장 먼저, 어느 학술지에 투고할지 결정되는 시점이 언제인가에 따라, 연구자가 학술지 양식을 맞추는 시점이 달라진다. 논문을 학회지 양식에 맞춰 편집하는 시점 (어느 학회지에 투고할것인지 결정되는 시점에 좌우 됨) 1. 논문은 이미 다 쓰여져 있는 상태에서 학회에 투고해야 하는 경우 (석사논문이나 박사논문을 학회지로 투고하는 경우, 또는 실험과 연구가 모두 끝나고 보고서나 글이 모두 잇는 상태에서 학회지..
2024.10.16 14:59